resource detail

살아있는 및 비활성화된 Akkermansia muciniphila에 의한 장-신장 축 조절이 미생물-대사 상호작용을 통해 조류 고요산혈증을 완화시킵니다.

2025-08-30 19:01 | 추천 : 0 | 댓글 : 0
고요산혈증(HUA)은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에 이어 네 번째로 중요한 건강 위협 위험 요인으로 부상했으나, 기존 요산 저하 치료(ULT)의 효능은 낮아 새로운 ULT 전략을 탐색할 긴급한 필요가 있다.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Akkermansia muciniphila(A. muciniphila)는 장의 항상성 유지와 대사 조절을 촉진하는 가능성을 보인다. 이전 연구는 ULT에서 A. muciniphila의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 거위의 맹장에서 A. muciniphila의 한 균주를 분리하여 K101이라 명명하였다. 시험관 실험에서는 K101이 요산을 직접 분해하여 항-HUA를 위한 잠재적 미생물-대사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K101이 A. muciniphila 및 Lactobacillus와 같은 요산 대사 관련 미생물의 풍부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으로, K101은 장 배설 단백질 ABCG2를 활성화하고 신장 내 요산 재흡수 단백질 GLUT9를 억제하여 요산 배출을 조화롭게 촉진하였다. 또한, K101은 신장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요산 대사를 위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A. muciniphila K101은 장-신장 축을 통한 장내 미생물과 요산 배출을 재구성함으로써 항-HUA 효과를 발휘한다. 이 연구는 A. muciniphila의 요산 대사에서의 미생물-대사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며, 통풍 예방과 ULT 전략 개발을 위한 잠재적 표적을 식별한다.중요성 고요산혈증(HUA)의 증가하는 유병률은 새로운 치료제와 치료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우리의 연구는 조류 장내에서 발견된 자연 요산 분해 박테리아의 개발 및 치료 잠재력을 강조하며, 의학적 응용이 가능한 박테리아 범위를 확장시킨다. 또 다른 주요한 발견은 HUA 경감에 있어 미생물군 대사체의 주목할 만한 효능이다. 기저 메커니즘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발견은 미생물군 기반 치료제에 대한 유망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Key Points
  • Akkermansia muciniphila K101은 시험관에서 요산을 직접 분해하여 항-고요산혈증 잠재성을 보였다.
  • K101은 생체 내에서 장내 ABCG2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신장 내 GLUT9 단백질을 억제하여 요산 배출을 촉진했다.
  • K101은 신장 염증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요산 대사를 위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장-신장 축을 통한 광범위한 장내 미생물 재구성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