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간막 뒤틀림(MT)은 여러 동물 종에 영향을 미치고 동물의 죽음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그 병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T와 관련된 유전체 영역과 후보 유전자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MT 기록과 계보를 포함한 405두의 돼지에서 유래한 표현형 및 유전자형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 분석 모델에서 현대 그룹(성별, 연도, 이유 주차)은 고정효과로 간주되었고, 이유체중의 선형효과는 공변량으로, 직접적 부가 유전효과는 무작위로 간주되었습니다.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에서 유전 변이의 0.3% 이상을 설명하는 유전체 창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15개의 염색체에 걸쳐 299개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52개의 유의한 창이 식별되었습니다. HSD17B4, TNFAIP8, TENM4, CHD2, RGMA, OPRM1, PPARGC1A, CHIA, KCNJ2, KCNJ16, KCNJ15, ELN, SGO1, IL17A, IL17F, GATA4, OVOL2, GLI3 및 RAP1A 유전자는 장의 형태형성과 먹이섭취 행동, 장벽, 소화 및 장 운동성과 관련이 있어 MT의 후보 유전자로 간주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들은 장 변형, 장내 미생물 균형 붕괴, 과도한 발효, 장의 통과 지연 및 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발견은 돼지에서 MT 발생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인간을 포함한 다른 포유류의 장 꼬임/장결림의 병인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Key Points
- 장간막 뒤틀림(MT)은 복잡한 유전적 구조에 기인하며, 연구를 통해 15개의 염색체에서 299개의 관련 유전자가 발견되었습니다.
- HSD17B4, TNFAIP8, TENM4 등 여러 유전자가 장 형성 및 기능과 관련이 있어 장의 변형, 소화 문제 및 장애 유발에 연관될 수 있습니다.
- 이 연구는 돼지 MT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인간을 포함한 여러 포유류의 장 꼬임/장결림의 원인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