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ASFV)에 의해 발생하며, 중국의 돼지 산업 발전에 큰 타격을 준 급성 전염성 질병입니다. 대식세포는 ASFV의 주요 표적 세포로 높은 가소성을 보이지만, 감염 중 그들의 표면형 변화는 잘 이해되지 않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ASFV에 감염된 돼지의 말초 혈액에서 M2 단핵구가 현저히 증가한 것을 관찰했습니다. 실험실 조건에서 ASFV는 STAT3의 초기 인산화를 통해 대식세포가 M2 표현형으로 극화되도록 유도했습니다. STATTIC을 통한 STAT3 억제는 M2 극화를 막았을 뿐만 아니라 ASFV 복제를 억제했습니다. M2 대식세포는 바이러스 부착이나 내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M1 대식세포에 비해 낮은 살상 능력을 보였습니다. 또한 혼합 림프구 반응(MLR) 시스템에서 ASFV에 감염된 M2 극화 대식세포와 함께 배양된 CD4+ T 세포는 초기 활성화가 억제되고, 이는 결국 적응 면역을 약화시켰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ASFV가 사용하는 중요한 면역 회피 전략을 드러내며, ASF 병원성 기전과 바이러스 지속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