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유행성설사바이러스(PEDV)는 돼지에게 매우 전염성이 높은 질병을 유발하며, 그 숙주-병원체 상호작용의 복잡성은 더욱 명확히 밝혀져야 합니다. 스트레스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중국 미니돼지와 요크셔 돼지를 비교하여 품종별 저항성 메커니즘을 조사했습니다. 두 품종에 PEDV 감염 모델을 구축하고 사이토카인 수치, 바이러스 부하 및 공장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여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공장 조직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두 돼지 품종 간 5422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된(특별하게 발현된) 단백질 코딩 유전자(PCGs)와 1999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된 긴 비암호화 RNA(lncRNAs)를 식별했습니다. 기능적 주석은 요크셔 돼지새끼들이 염증 및 세포자살 경로의 상향 조절을 보인 반면, 중국 미니돼지새끼들은 강한 염증 반응과 향상된 점막 면역을 나타냈음을 밝혀냈습니다. 특히, 포도당-6-인산분해효소 촉매 소단위 3(G6PC3)의 발현은 중국 미니돼지새끼에서 요크셔 돼지새끼보다 현저히 높았습니다. 장 돼지 상피세포주 J2(IPEC-J2)에서 G6PC3를 억제하면 PEDV 증식이 증가하고 당분해/당신생 대사 경로와 관련된 면역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PEDV 감염에 대한 중국 미니돼지와 요크셔 돼지의 독특한 면역 반응을 강조하며, PEDV 면역과 관련된 주요 PCGs와 lncRNAs를 식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