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는 중화활성 외에도 Fc 수용체를 통해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 및 항체 매개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보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돼지는 인간과 유사한 임상 및 면역 반응을 보이는 인플루엔자의 자연 숙주로, 인플루엔자 연구에 적합한 대형 동물 생의학 모델입니다. 유감스럽게도 돼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SwIAV)에 대한 ADCC 및 CDC 기능에 대한 통찰력은 충분한 면역학적 도구의 부재로 인해 현재로서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돼지의 키토산 나노입자 기반 불활성화 단가형 및 상업용 다가형 SwIAV 백신의 비강 및 근육 내 투여에 따른 바이러스 특이 항체에 의해 매개된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ADCC 및 CDC 분석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사용하여 비강으로 투여된 키토산 나노입자 기반 불활성화 단가형 전체 SwIAV 백신과 근육 내로 투여된 상업용 다가형 SwIAV 백신에 의해 돼지에서 유도된 항체 매개 세포독성을 정량화하고 비교하였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전체 불활화 바이러스로 백신 접종 후 모체 항체 양성 돼지가 특정 ADCC를 매개하는 항체를 유도하지 못했지만, CDC 항체의 생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백신 접종한 동물을 감염 도전에 노출시킨 후에는 높은 수준의 ADCC 항체가 유도되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 특이 중화 및 비중화 항체의 기능이 백신 접종 경로(비강 대 근육 내), 백신 유형(단가형 대 다가형) 및 보조제 조제법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백신 접종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에서 ADCC, CDC, 항체 친화력, Nabs 및 HA 억제(HAI) 항체 반응의 크기 간에 긍정적인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돼지에서 ADCC 및 CDC 매개 항체의 측정은 백신에 의한 인플루엔자에 대한 보호 면역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백신 접종한 동물에서 중화 및 비중화 항체의 기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맞서 싸우기 위한 혁신적인 교차 보호 백신 조제법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